하루하루는 성실하게 인생 전체는 되는대로

DFS - 음료수 얼려 먹기 본문

알고리즘 Archive

DFS - 음료수 얼려 먹기

희롭 2021. 3. 24. 22:02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graph = []
for i in range (N):
	graph.append(list(map(int, input())))

# 모든 노드(위치)에 음료수 넣기 => 즉, 음료담을 공간인 0에 음료 얼리기 위해 넣기
result = 0
for n in range(N):
	for m in range(M):
		# 현재 위치에서 DFS 돌려서 true가 나오면 값 +1
		if dfs(n,m) == True:
			result += 1

print(result)

def dfs(x, y):
	#주어진 범위 벗어나면 즉시 종료(False 반환)
	if x<=-1 or x>=N or y<=-1 or y>=M:
		return False
	#주어진 위치가 빈공간이면 (미방문 노드)
	if graph[x][y]==0:
		# 음료수 채워준다 (방문 처리)
		graph[x][y]=1
		# 상하좌우 위치도 재귀적으로 호출한다.
		dfs(x-1, y)
		dfs(x, y-1)
		dfs(x+1, y)
		dfs(x, y+1)
		return True
	return False
  • 연결 구조(Connection ~)하면, dfs/bfs 떠올리기!
  • 풀이 아이디어 : 얼음을 채워넣는데, 한번에 주위 것까지 같이 넣어진다
    ⇒ 한 노드를 중심으로 방문을 확인하면서 방문표시를 즉각적으로 해주고, 이것이 재귀적으로 한번에 실행되게 한다. 한 덩어리 실행이 완료되면 +1을 해줌으로써 덩어리 개수 카운트.
    ⇒ 더 자세한 설명 : 한 중심 노드의 방문여부 확인해서 방문 안했으면 방문처리하고, 이걸 함수로 만들어서 재귀적으로 돌려서 그 근처 노드에 대해서도 방문 여부를 한번에 체크하고 방문처리할 수 있게 한다. 방문이 완료된 지점에서는 함수동작 멈추도록(return False 등을 이용) 구상.
  • 헷갈렸던 점 : dfs함수를 호출하여 dfs(x, y)를 돌릴 때, 그 안에서 재귀적으로 돌아가는 dfs(x-1, y) 등등으로 인해 그때마다 True가 입력되어 result가 매번 +1 되는 것은 아닐까??
    ⇒ 해결! : 내부의 함수는 끝난다음에 return을 해줄 수 없다. 결국 첫번째로 dfs에 입력한 dfs(x,y)가 완전히 종료되는 시점에서만 return이 가능하지 그 중간에는 함수밖을 벗어날 수 없다!
  • 주의할 점 : 주어진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에 대해서는 (-1, N이상) return False 되게!
  • 이게 dfs인 이유? : 아래 사진 참고. 이런 연유로 재귀함수는 거의 dfs ⇒ 너무 뇌피셜..

'알고리즘 Arch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백준] 1260 - dfs와 bfs (미완-다시풀기)  (0) 2021.03.24
BFS - 미로 탈출  (0) 2021.03.24
[백준] 2750 - 수 정렬  (0) 2021.03.24
[백준] 1920 - 수 찾기  (0) 2021.03.24
[swea] list - min max (파이썬)  (0) 2021.03.24
Comments